notion-043




⓿ 도메인과 호스팅?

도메인 이름, 호스팅 많이 들어봤지만 두 개념은 완전히 다릅니다.

간단히 말해 도메인자신의 사이트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

호스팅내 사이트가 위치하는 공간을 빌리는 것을 지칭합니다.



① 호스팅

홈페이지, 사이트들은 결국은 데이터의 집합체이며, 이를 물리적으로 저장할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이런 컴퓨터들을 호스팅 서버라 하며, 컴퓨터의 공간의 일부를 비용을 받고 빌려주는 것을 호스팅이라 합니다.


② 도메인

위에서 살펴봤듯, 호스팅 서버는 인터넷 회선이 연결된 컴퓨터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12.345.678.912와 같은 형태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IP 주소가 웹 사이트의 실제 주소입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기억하고 접속하기에는 너무 복잡합니다.

따라서 나온 것이 도메인입니다.

ICANN이라는 기관에 편입된 IANA라는 범 국제적인 기관이 조금 더 쓰기 편한 문자로 된 도메인을 만들고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관
인터넷 DNS의 기술적 관리, 인터넷에서의 이름과 주소가 사용되는 방식 규정 정책 담당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
루트 DNS(최상위 도메인), IP 주소 지정 및 기타 인터넷 프로토콜 리소스 담당




❶ DNS 서버란?

DNS : 도메인 이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IP 주소변환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

즉 웹 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 안에서 해당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DNS 서버 라고 합니다.


도메인과 IP 주소는 아무런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DNS 서버에 특정 IP주소는 특정 도메인 이름과 같다는 기록을 저장해주고, 인터넷 사용자들이 도메인 주소를 검색했을 때 IP 주소로 연결되도록 해줍니다.

image



하나의 도메인에 여러 IP?

로드 밸런싱 기능을 하는 DNS 서버를 중간에 두거나,
로드 밸런서를 이용해서 가능합니다.

로드 밸런싱(로드 밸런서)란?

서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분산 처리하는 기술
라운드 로빈, 최소 연결 방식 등의 트래픽 배분 알고리즘 사용.




❷ DNS 서버 동작 원리

TLD DNS 서버를 기준으로 동작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1. DNS 서버로 조회를 요청한 도메인 주소가 전달됩니다.
  2. 서버 내부에서 도메인 주소를 토대로 매칭되는 IP 주소를 찾아냅니다.
    (Jiyoung.com = 12.456.789.123)
  3. 해당 IP 주소를 갖고 있는 호스팅 서버의 주소를 응답으로 보내줍니다.
    (호스팅 서버 : 해당 웹 사이트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



❸ DNS 서버의 종류

도메인의 수는 정말 많습니다.

따라서 DNS 서버 종류 또한 계층화되어, 변환 작업을 단계적으로 처리합니다.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도메인 종류

[1]. Root DNS 서버

  • ICANN이 직접 관리하는 존엄 서버로 TLD DNS 서버 IP들을 저장해두고 안내

[2]. TLD(Top Level Domain) DNS 서버

  • 도메인 등록 기관(Registry)이 관리하는 서버로 Authoritative DNS 서버 주소를 저장해두고 안내하는 역할
  • 보통 도메인 판매 업체의 DNS 설정이 변경되면 도메인 등록 기관(Registry)로 전달이 되기 때문에 어떤 도메인 묶음이 어떤 Authoritative 서버에 속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3]. Authoritative(= SLD/ Second Level Domain) DNS 서버

  • 실제 개인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가 기록/저장/변경되는 서버
  • 일반적으로 호스팅 업체의 네임 서버를 말하지만, 개인 DNS 서버를 구축한 경우에도 이에 해당합니다.

[4]. Recursive DNS 서버(= Resolver)

  • 인터넷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근하는 DNS 서버
  • 위 3개의 DNS 서버를 매번 거쳐 IP 주소를 받아온다면 매우 비효율적인 작업이므로, 한번 거친 데이터를 일정 기간(TTL/Time to Live) 동안 캐시의 형태로 저장해두는 서버
  • 직접 도메인과 IP 주소의 관계를 기록/저장/변경하지 않고 캐시만을 보관
  • 대표적으로 KT/LG/SK와 같은 ISP(통신사) DNS 서버가 있습니다.




❹ 전체 동작 원리

동작원리

  1. 사용자가 Jiyoung.com 검색
  2. 브라우저에서 Jiyoung.com을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인 SK DNS 서버(Recursive DNS 서버)에게 도메인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요청
    (브라우저의 기본 DNS 설정값은 ISP DNS 서버)
  3. ISP DNS 서버에서 캐시 데이터가 없음을 확인하고 Root DNS 서버에게 해당 도메인 네임 조회 요청
    (캐시가 있다면 9번으로 건너 뜀)
  4. Root DNS 서버TLD DNS 서버만 관리하기 때문에,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TLD DNS 서버 주소 안내
  5. ISP DNS 서버.com TLD DNS 서버에게 어디로 가야하는지 다시 조회 요청
  6. COM TLD DNS 서버가비아 DNS 서버(Authoritative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이 관리되고 있음을 조회한 후 다시 안내
  7. ISP DNS 서버가비아 DNS 서버에게 다시 조회 요청
  8. 가비아 DNS 서버Jiyoung.com = 12.456.789.123임을 확인하고 IP를 알려줌.
    동시에 ISP DNS 서버해당 정보를 캐시로 기록
  9. ISP DNS 서버는 IP 주소 12.456.789.123브라우저에게 안내
  10. 브라우저는 12.456.789.123 IP 주소를 갖고 있는 호스팅 서버에게 웹 사이트 출력 요청
    (리소스 요청 및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거침/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11. 웹 사이트 렌더링 완료


2번에서 ISP 서버를 통한 캐시가 있는지 확인하기 전에
브라우저 캐시, OS 캐시, 라우터 캐시도 확인한 후 ISP 캐시를 확인하게 됩니다.




출처

gentlysallim-DNS는 무엇이고 네임서버는 무엇일까

gentlysallim-DNS와 호스팅

Google domains

hanamon- 도메인 네임 시스템 개념부터 작동 방식까지

카테고리: ,

업데이트:

댓글남기기